반응형
매년 대한민국 사회안전지수를 조사 및 발표합니다. 경제활동, 생활안전, 건강보건, 주거환경 4 분야로 구성된 지표로 종합등급을 발표합니다. 2023년의 사회안전지수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2023 대한민국 사회안전지수 알아보기
내가 사는 우리 동네는 얼마나 안전한지 알아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2023년 대한민국 사회안전지수는 머니투데이와 성신여대 데이터사이언스센터, 케이스탯 공공사회정책연구소, 충북대 국가위기관리연구소와 공동으로 전국 시·군·구별 '2023 사회안전지수(Korea Security Index 2023)-살기 좋은 지역'을 발표했습니다. 조사대상은 총 229개 시·군·구이지만 올해 공개 대상은 설문조사 표본이 적은 45개 지자체를 제외한 총 184개 시·군·구입니다.
제외된 시∙군∙구
인구가 작아 분석이 어려운 시∙군 ∙구는 제외되었습니다. 전국 45개 시∙군 ∙구 리스트입니다.
- (경기도) 연천군
- (강원도) 고성군,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인제군, 정선군, 철원군, 태백시, 평창군, 화천군
- (전라북도) 고창군, 무주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진안군
- (전라남도) 강진군, 고홍 군, 곡성군, 구례군, 보성군, 신안군, 영광군, 영암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해남군
- (경상북도) 봉화군, 영양군, 울릉군, 청송군
- (경상남도) 거창군, 고성군, 남해군, 산청군, 의령군, 창녕군, 하동군, 함양군, 합천군
가장 살기 좋은 동네 TOP 10
세종시를 제외한 모든 시군구가 경기도와 서울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서울과 경기도를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 경기도 과천시
- 세종특별자치시
- 서울 서초구
- 서울 종로구
- 경기도 성남시
- 경기도 의왕시
- 서울 강남구
- 경기도 하남시
- 서울 송파구
- 경기도 안양시
측정방법
사회안전지수는 시민들의 안전에 영향을 주는 사회·경제적 요소들을 경제활동, 생활안전, 건강보건, 주거환경의 4개 분야로 나누고 그 밑에 14개 하위영역, 71개 지표 항목으로 나눠 시·군·구별로 사회 안전도를 측정하였습니다.
각 하위영역은 3~4개의 구성되어 있습니다. 세부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경제활동 - 소득, 복지, 고용, 노후
- 생활안전 - 치안, 소방, 교통안전
- 건강보건 - 건강상태, 의료환경, 의료충족
- 주거환경 - 대기·환경, 주거·보육·교육, 문화·여가, 인구변동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