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를 보면 ~~~ 플레이션 이란 말들 들을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디스플레이션 등 많은 용어가 있습니다. 오늘은 모든 플레이션 관련 용어를 알아보겠습니다.
1. 인플레이션(inflation)
인플레이션은 물가상승을 뜻하는 경제용어입니다. 물건의 가격과 서비스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상태를 말하는 것입니다. 코로나 이후 급격한 물가상승을 기억하실 겁니다. 이때가 인플레이션 상태입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건과 서비스 가격이 올라가는 만큼 화폐의 가치가 점점 낮아지게 됩니다. 한때 오늘이 가장 싸다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하루가 다르게 물가가 올라간다는 것을 표현한 말입니다. 가장 많이 들어본 경제용어로 익숙한 개념입니다.
2. 디플레이션(deflation)
디플레이션은 물가하락을 뜻하는 경제용어입니다. 물건의 가격과 서비스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상태를 말하는 것입니다. 인플레이션과 반대로 화폐의 가격이 점점 올라갑니다. 화폐가치가 올라가고 물건값이 싸지면 좋아지는 거 아니야 하는 의문을 가질 텐데요. 디플레이션의 문제는 오늘보다 내일이 싸질 것이라 생각하고 소비를 늦추거나 줄이게 됩니다. 이 상태를 지속하게 되면 기업의 매출이 줄고 매출이 줄어 임금이 줄게 되고 그럼 다시 소비를 줄이게 되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지게 됩니다. 가까운 이웃나라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본 청년의 2022년 월급이 30년 전 아버지들이 받던 월급보다 적습니다.
3. 디스인플레이션(disinflation)
요즘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입니다. 디스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 완화 의미로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무슨 뜻이냐면, 디플레이션으로 올라간 물가를 상승 전의 물가로 낮추는 게 목적이 아니라 물가상승폭을 완화시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매분기 3%씩 물가가 올랐다고 가정할 경우 상승폭을 다음분기는 2.5%, 그다음분기는 2%, 또 그다음분기는 1% 이런 식으로 물가는 상승하지만 상승폭을 낮춰 인플레이션을 완화시키겠다는 정책입니다. 인위적으로 물가를 떨어뜨려 인플레이션을 잡을 경우 대량의 실업자 양산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방식을 취하는 것입니다.
4.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침체를 뜻하는 스태크네이션(stagnation)과 물가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을 합성한 말입니다. 즉 경기침체 속에 물가가 상승하는 시기를 말합니다. 경기침체로 임금은 동결되거나 하락하였으나 물가상승으로 물건값이 올라 소비가 줄어 경제침체는 계속되는 상황입니다. 돈을 풀어 경기를 부양하려 해도 늘어난 통화량에 물건값이 올라갑니다. 통화량을 줄여 물가를 잡으려 하면 유동성으로 인해 소비가 줄어 경기침체가 됩니다. 진퇴양난의 시기입니다. 대부분 원자재상승과 환율상승으로 문제가 발생합니다. 실제 스태크플레이션은 1970년대 석유파동 때와 2007~2010년 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 때 나타났습니다.
5. 하이퍼인플레이션(Hyperinflation)
하이퍼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에 "최고의, 과도한"뜻하는 접두어 Hyper가 붙어 만들어진 말입니다. 즉 초인플레이션을 뜻합니다. 월간 물가상승률이 50%를 넘을 때 하이퍼인플레이션의 시작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짐바브웨와 베네수엘라에서 겪고 있다. 베네수엘라의 경우 2014년 69%로 시작하여 2015년 181%, 2016년 800% 2017년 4000%, 2019년에는 2600000% 상승하였다. 짐바브웨의 경우 100조 달러 지폐가 나오기도 하였다.
6. 애그플레이션(Agflation)
애그플레이션은 농업을 뜻하는 agriculture와 물가상승을 의미하는 inflation의 합성어입니다. 농산물 가격의 상승을 시작으로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온난화 및 기후이상으로 농작물 작황이 나빠져 농작물 물가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음식물과 그에 따른 후속 물가까지 다 오르게 됩니다. 몇 해 전 상추를 사면 삼겹살을 준다는 패러디가 나올 정도로 농작물 가격이 급격한 사례가 있습니다. 특정 농작물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빈번히 사용됩니다.
7. 스크루플레이션(screwflation)
스크루플레이션은 쥐어짜다는 screw와 인플레이션의 합성어입니다. 물가상승과 실질임금 감소로 중산층의 가처분 소득이 줄어드는 현상을 말합니다. 불경기로 임금은 제자리인데 물가는 계속 상승하여 중산층 이하 가구의 실직소득이 계속감소하는 현상입니다. 고소득층보다 중산층과 저소득층이 더욱 크게 영향을 받아 빈부의 격차가 확대되는 시기입니다.
2011년 미국 헤지펀드 대표 더글러스 카스는 스태그플레이션보다 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 한적 있습니다.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작권 걱정 없는 음악, 이미지, 동영상 사이트 (0) | 2023.02.14 |
---|---|
무료 건설현장 안전사고 발생즉보(발생 즉시 보고) 양식 서식 (0) | 2023.02.08 |
새로운 장례문화 퇴비장을 아시나요? (0) | 2023.02.05 |
발렌타인데이 유래 및 실패 없는 선물 (0) | 2023.02.03 |
수영 10분 휴식 진짜 이유 (0) | 2023.02.01 |
댓글